-
주민등록번호 오류검사(패리티체크) 20년 이후일상/낙서 2022. 4. 15. 14:55
프로젝트 진행 중 올바른 주민번호인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다.
본래 만들었던 로직은 13자리의 주민번호 중 12자리의 주민등록번호를 자리수 순서대로
2부터9까지 곱한 값을 모두 더하여 11로 나눈 나머지를 다시 11로 뺀 값이 13번 째 숫자와 동일할 경우올바른 주민등록번호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위 과정을 통과하지 못하면 오류로 판단하였는데...
왜인지 모르게 21년생의 주민등록번호가 패리티체크에 실패했다. 혹시 로직이 잘못된건 아닌지 수기로도 계산해 봤는데
계산이 맞지가 않았는데, 그로 인하여 관련 내용을 찾아보게 되었다.
45년만에 주민등록번호 부여체계 바꾼다 | 행정안전부> 뉴스·소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ois.go.kr
위 로직이 필요없이 주민번호 뒷자리는 임의번호로 부여되기 때문에 20년대생은 로직을 통과하도록 수정하여야 한다.
단, 1920년대생도 있기 때문에 뒷자리가 3 또는 4로 시작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
'일상 > 낙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북프로의 무게, 맥북프로14인치, M1 Air, DisplayLink, 피벗 (0) 2022.01.23 해피해킹 프로2 HHKB (0) 2021.01.19 JS로 Pandas를 한다 (1) 2021.01.18 패러다임 (0) 2020.12.28